온 마을 Law 

아동 권리가 옹호되는 마을이 생겨나려면
무엇이 필요할까요?

2015년부터 2022년까지 태어났지만 출생신고가 되지 않은 아동이 2,123명, 2022년 아동학대로 신고접수된 사례가 44,531건에 이릅니다. 하지만 국선으로 활동하는 법률가의 수는 매우 부족하고, 아동·청소년 분야에서 활동하는 공익전업변호사 또한 10여명 남짓에 불과합니다. 한 아이를 키우는 데에는 온 마을이 필요하다는 말이 있습니다. 한 아이를 지키기 위해 법, 그리고 법률가들은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온 마을 Law 프로젝트는 법을 통해 아동의 안전한 일상과 다양한 상상을 지키기 위해 시작되었습니다.




공익법 생태계



온 마을 Law



아동 권리가 옹호되는 마을이 생겨나려면 무엇이 필요할까요?

2015년부터 2022년까지 태어났지만 출생신고가 되지 않은 아동이 2,123명, 2022년 아동학대로 신고접수된 사례가 44,531건에 이릅니다. 하지만 국선으로 활동하는 법률가의 수는 매우 부족하고, 아동·청소년 분야에서 활동하는 공익전업변호사 또한 10여명 남짓에 불과합니다. 한 아이를 키우는 데에는 온 마을이 필요하다는 말이 있습니다. 한 아이를 지키기 위해 법, 그리고 법률가들은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온 마을 Law 프로젝트는 법을 통해 아동의 안전한 일상과 다양한 상상을 지키기 위해 시작되었습니다.

문제 해결 전략


아동권리옹호변호사 확대

#변화의 생태계 조성

기존 성과

진행 상황



2022년에 34명, 2023년에 35명의 ‘온 마을 Lawyer’의 활동을 지원했습니다.

지속적으로 ‘온 마을 Lawyer’의 활동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2년간 총 349명의 아동·청소년에게 법률지원을 했습니다.

서울 중심으로 이루어지던 아동권리옹호활동을 경기, 대전, 부산, 대구, 광주, 전북, 제주까지 확장하고 있습니다.

2년간 ‘온 마을 Lawyer’는 상담, 자문, 소송, 제도개선활동, 공익법연구, 국제연대활동 등 총 446건의 권리옹호활동을 진행했으며 활동시간은 총 6,866시간에 달합니다.

목표


최소 1,000명의 변호사가 아동권리 옹호활동을 경험하고, 지속적으로 활동할 수 있도록 합니다.

아동·청소년 법률지원에 소외되는 지역이 없도록 합니다.

문제 해결 전략


아동 최상의 이익을 실현하는 활동을 위한
역량 강화

#변화의 생태계 조성

기존 성과

진행 상황



<온 마을이 함께하는 아동·청소년 법률지원 실무매뉴얼>을 집필하고 발간했습니다. (2023년)

아동권리, 청소년인권, 아동복지, 아동심리발달, 피해자지원, 국제인권메커니즘 등을 주제로 온 마을 Lawyer를 위한 역량강화 교육을 정기적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목표


아동 최상의 이익을 실현하는 아동권리옹호활동을 확산합니다.

문제 해결 전략


아동권리옹호를 위한 생태계 조성

#연대와 이니셔티브 구축
#변화의 생태계 조성
#캠페인과 미디어 활동

기존 성과

진행 상황



시민사회와 정부, 법률가, 국내외인권기구가 함께 논의하는 <아동의 사법접근권 보장을 위한 국제심포지엄>을 개최했습니다. (2023년)

매해 ‘온 마을 반상회’를 개최해 다양한 이해관계자 간 협력과 연대의 장을
만들고 있습니다.

아동·청소년 현장에서 추구하는 임팩트 구현 및 아동·청소년 친화적 사법접근권 보장을 위한 <온 마을 Law 임팩트 라운드테이블>을 개최했습니다. (2024년)

법을 통해 아동의 삶이 긍정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는 메시지를 확산하기 위해 영상을 제작해 관련 활동들을 홍보하고 있습니다.  

목표


아동·청소년 권리옹호를 위한 생태계를 조성합니다.   

문제 해결 전략

기존 성과

진행 상황

목표


아동권리옹호변호사
확대

#변화의 생태계 조성

2022년에 34명, 2023년에 35명의 ‘온 마을 Lawyer’의 활동을 지원했습니다.

2년간 총 349명의 아동·청소년에게 법률지원을 했습니다.

2년간 ‘온 마을 Lawyer’는 상담, 자문, 소송, 제도개선활동, 공익법연구, 국제연대활동 등 총 446건의 권리옹호활동을 진행했으며 활동시간은 총 6,866시간에 달합니다.

지속적으로 ‘온 마을 Lawyer’의 활동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서울 중심으로 이루어지던 아동권리옹호활동을 경기, 대전, 부산, 대구, 광주, 전북, 제주까지 확장하고 있습니다.

최소 1,000명의 변호사가 아동권리 옹호활동을 경험하고, 지속적으로 활동할 수 있도록 합니다.

아동·청소년 법률지원에 소외되는 지역이 없도록 합니다.


아동 최상의 이익을
실현하는 활동을 위한
역량 강화

#변화의 생태계 조성

<온 마을이 함께하는 아동·청소년 법률지원 실무매뉴얼>을 집필하고 발간했습니다. (2023년)

아동권리, 청소년인권, 아동복지, 아동심리발달, 피해자지원, 국제인권메커니즘 등을 주제로 온 마을 Lawyer를 위한 역량강화 교육을 정기적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아동 최상의 이익을 실현하는 아동권리옹호활동을 확산합니다.


아동권리옹호를 위한
생태계 조성

#연대와 이니셔티브 구축
#변화의 생태계 조성
#캠페인과 미디어 활동

시민사회와 정부, 법률가, 국내외인권기구가 함께 논의하는<아동의 사법접근권 보장을 위한 국제심포지엄>을 개최했습니다. (2023년)

아동·청소년 현장에서 추구하는 임팩트 구현 및 아동·청소년 친화적 사법접근권 보장을 위한 <온 마을 Law 임팩트 라운드테이블>을 개최했습니다. (2024년)

매해 ‘온 마을 반상회’를 개최해 다양한 이해관계자 간 협력과 연대의 장을 만들고 있습니다.

법을 통해 아동의 삶이 긍정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는 메시지를 확산하기 위해 영상을 제작해 관련 활동들을 홍보하고 있습니다.  

아동·청소년 권리옹호를 위한 생태계를 조성합니다.   


이메일. duroo@duroo.org

팩스. 02-6200-0811    전화. 02-6200-1853

서울 중구 퇴계로8길 58, 3층  (04635)

대표자. 임성택    사업자번호. 110-82-18138

© DUROO. All Rights Reserved.

이용약관     면책공고     웹접근성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공익위반사항 관리감독기관

      

이메일. duroo@duroo.org

팩스. 02-6200-0811

전화. 02-6200-1853

서울 중구 퇴계로8길 58, 3층  (04635)

대표자. 임성택

사업자번호. 110-82-18138

© DUROO. All Rights Reserved.

공익위반사항 관리감독기관

이용약관     면책공고     웹접근성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